스파르타 알고리즘 트랙 문제(백준)/3일차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파르타 알고리즘 트랙 문제 3일차 - 3 #10773 제로 문제 나코더 기장 재민이는 동아리 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장부를 관리하는 중이다. 재현이는 재민이를 도와서 돈을 관리하는 중인데, 애석하게도 항상 정신없는 재현이는 돈을 실수로 잘못 부르는 사고를 치기 일쑤였다.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해결 과정 0인 입력이 들어올 때마다 가장 최근 값을 없애는 LIFO 형식의 자료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터렛 문제에서 사용했던 Stack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tack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면 구현은 간단하다. 입력으로 0을 받았다면 기존에 숫자를 저장해 두었던 Stack에서 값을 .. 스파르타 알고리즘 트랙 문제 3일차 - 2 #10828 스택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해결 과정 Stack 자료형을 활용해 주어진 입력을 구현하고 필요할 경우 출력까지 하는 코드이다. Stack 자료형을 사용한다면 크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전부 해당 자료형 안에 구현되.. 스파르타 알고리즘 트랙 문제 3일차 - 1 #1002 터렛 문제 조규현과 백승환은 터렛에 근무하는 직원이다. 하지만 워낙 존재감이 없어서 인구수는 차지하지 않는다. 이석원은 조규현과 백승환에게 상대편 마린(류재명)의 위치를 계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조규현과 백승환은 각각 자신의 터렛 위치에서 현재 적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 조규현의 좌표 (x1, y1)와 백승환의 좌표 (x2, y2)가 주어지고, 조규현이 계산한 류재명과의 거리 r1과 백승환이 계산한 류재명과의 거리 r2가 주어졌을 때,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좌표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해결 과정 두 원의 접점의 갯수를 구하는 방법을 알면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접점의 갯수를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d, 각 원의 반지름을 각 r1, r2라 하였을 때, d =.. 이전 1 다음